JPA + Querydsl group_concat 사용법
해당 코드는 Github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JPA + Querydsl group_concat 사용법#
Querydsl 기반으로 작업하다 보면 sql 함수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um(), max() 등이 있고 해당 함수는 Querydsl 자체에서 지원해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group_concat과 같은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은 Mysql 환경에서 JPA + Querydsl 조합에서 group_concat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입니다.
Mysql 환경에서 group_concat을 사용하기 위해서 별다른 설정 없이 Expressions.stringTemplate() 함수를 이용해서 group_concat사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1 |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o pattern found for GROUP_CONCAT |
SQLExpressions.groupConcat을 사용해서 group_concat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해당 설정은 의존성과, 설정이 조금 복잡하기 때문에 Expressions.stringTemplate 기반으로 group_concat을 사용하겠습니다.
설정 방법#
1 | package com.example.querydsl.config |
MySQL57Dialect을 상속받는 커스텀한 Dialect클래스를 작성하고 registerFunction()메서드를 통해서 group_concat SQL Function을 등록합니다.
1 | spring: |
application.myl or application.properties 설정에서 위에서 작성한 MysqlCustomDialect 패키지 경로를 입력합니다.
테스트#

- 위와 같은 관계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겠습니다.
1 | data class MemberGroupConcat constructor( |
teamA를 하나 생성하고 member-1 ~ member-20까지 member를 생성하고 teamA에 연결합니다. 리턴 받는 객체는 MemberGroupConcat으로 받게 설정합니다. Projection을 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QueryProjection을 이용한 방법을 선호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Querydsl Projection 방법 소개 및 선호하는 패턴 정리에서 정리한 적 있습니다.

의도한 것처럼 group_concat이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점#
group_concat사용할 때 max length를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group_concat max length size가 있고 그것을 넘어가면 문자열을 더 가져오지 않습니다.
1 |
|
member를 1000개 저장하고 group_concat을 사용해서 print()을 하면 전체 결과가 나오지 않고 일정 length에서 잘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 show variables like 'group_concat_max_len'; |

위 명령어로 group_concat max length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max length를 늘려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리#
group_concat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하긴 했지만 가능하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JPA 연관관계를 통해서 가져오는 것이 더 선호하며 group_concat 정도는 괜찮지만 SQL에 함수에 너무 의존적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