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5 특징 소개

인스턴스 생성 특징, 테스트 순서

Posted by Yun on 2020-06-16

Instance 특징

Junit5는 테스트 메서드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는 것이 기본 전략입니다. 이는 테스트 코드(메서드) 간의 디펜던시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아래 코드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internal class Junit5 {

private var value = 0

@Test
internal fun `value add 1`() {
value++

println("value : $value")
println("Junit5 : $this")
}

@Test
internal fun `value add 2`() {
value++

println("value : $value")
println("Junit5 : $this")
}
}

각가의 테스트 코드마다 value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value add 1, value add 2 두 메서드 중 한 메서드에서는 value : 2가 출력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출력 결과를 확인해 보면 모두 value : 1의 값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Junit5는 테스트 메서드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는 것이 기본 전략이기 때문에 value 값이 초기화되는 것입니다. Junit5 : $this 출력을 확인해보면 인스턴스 주솟값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value add 1, value add 2 테스트 메서드 간에 디펜더시가 줄어들게 됩니다.

만약 테스트 메서드마다 해당 값을 공유해서 사용하고 싶으면 companion object (static)으로 변수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아레 코드처럼 변경하고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internal class Junit5 {

// private var value = 0

companion object {
private var value = 0
}
...
}

value : $value의 출력을 확인해보면 해당 값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Junit5 인스턴스가 계속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TestInstance(TestInstance.Lifecycle.PER_CLASS) 에노테이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TestInstance(TestInstance.Lifecycle.PER_CLASS)
internal class Junit5 {

private var value = 0

@Test
internal fun `value add 1`() {
value++

println("value : $value")
println("Junit5 : $this")
}

@Test
internal fun `value add 2`() {
value++

println("value : $value")
println("Junit5 : $this")
}
}

Junit5 주솟값을 보면 동일한 주솟값을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private var value 변숫값이 테스트 메서드에서 공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테스트 코드 간의 디펜더시를 줄이는 것이 올바른 테스트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테스트 메서드마다 인스턴스를 계속 생성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테스트 코드는 디펜던시 없이 작성하고, @TestInstance(TestInstance.Lifecycle.PER_CLASS)을 통해서 인스턴스를 계속 생성을 막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처리 후처리

Annotation Description
@BeforeAll 테스트 실행되기 전 한번 실행됨
@BeforeEach 모든 테스트 마다 실행되기 전에실행됨
@AfterEach 모든 테스트 마다 실행된후 전에실행됨
@AfterAll 테스트 실행된 후 한 번 실행됨

Junit5에서는 테스트 메서드 실행 시 전처리, 후처리를 위해서 위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지원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internal class SampleTest {

companion object {
@BeforeAll
@JvmStatic
internal fun beforeAll() {
println("BeforeAll : 테스트 실행되기 이전 단 한 번만 실행")
}

@AfterAll
@JvmStatic
internal fun afterAll() {
println("AfterAll : 테스트 실행 이후 단 한 번 실행됨")
}

}

@BeforeEach
internal fun beforeEach() {
println("BeforeEach : 모든 테스트 마다 실행되기 이전 실행")
}

@AfterEach
internal fun afterEach() {
println("AfterEach : 모든 테스트 마다 실행 이후 실행")
}

@Test
internal fun `test code1`() {
println("test code run 1")
}

@Test
internal fun `test code2`() {
println("test code run 2")
}
}

테스트 결과를 보면 @BeforeXXX는 테스트 실행 이전 이후 1번 실행되고, @BeforeXXX는 테스트 메서드 실행 이전 이후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테스트 메서드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기 때문에 @BeforeXXXcompanion object(static)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internal class SampleTest {

@BeforeAll
internal fun beforeAll() {
println("BeforeAll : 테스트 실행되기 이전 단 한 번만 실행")
}

@AfterAll
internal fun afterAll() {
println("AfterAll : 테스트 실행 이후 단 한 번 실행됨")
}
}

만약 위처럼 설정하면 위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org.junit.platform.commons.JUnitException: @BeforeAll method 'public final void com.example.querydsl.SampleTest.beforeAll$query_dsl()' must be static unless the test class is annotated with @TestInstance(Lifecycle.PER_CLASS).

아래 코드처럼 TestInstance.Lifecycle.PER_CLASS을 추가하면 테스트 코드가 잘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TestInstance(TestInstance.Lifecycle.PER_CLASS)
internal class SampleTest {

@BeforeAll
internal fun beforeAll() {
println("BeforeAll : 테스트 실행되기 이전 단 한 번만 실행")
}

@AfterAll
internal fun afterAll() {
println("AfterAll : 테스트 실행 이후 단 한 번 실행됨")
}
...
}

예제가 길었지만 전하고 싶은 것은 테스트 메서드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는 것입니다.

테스트 순서

Junit5에는 테스트 코드 실행 순서는 명확하게 정해져있지 않습니다.(정확히는 순서가 있지만 그것이 명시적으로 정해져있지는 않은 거 같습니다.) 물론 테스트 간의 디펜더시를 줄이기 위해서는 테스트 간의 순서가 없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특정 테스트에서는 순서를 명시해야 할 필요성도 있습니다. @TestMethodOrder(MethodOrderer.OrderAnnotation::class)을 사용하면 테스트 순서를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TestInstance(TestInstance.Lifecycle.PER_CLASS)
@TestMethodOrder(MethodOrderer.OrderAnnotation::class)
internal class SampleTest {

@BeforeAll
internal fun beforeAll() {
println("BeforeAll : 테스트 실행되기 이전 단 한 번만 실행")
}

@AfterAll
internal fun afterAll() {
println("AfterAll : 테스트 실행 이후 단 한 번 실행됨")
}

@BeforeEach
internal fun beforeEach() {
println("BeforeEach : 모든 테스트 마다 실행되기 이전 실행")
}

@AfterEach
internal fun afterEach() {
println("AfterEach : 모든 테스트 마다 실행 이후 실행")
}

@Test
@Order(1)
internal fun `test code1`() {
println("test code run 1")
}

@Test
@Order(2)
internal fun `test code2`() {
println("test code run 2")
}
}

@Order()을 사용하면 위와 같이 테스트 순서를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value 값이 낮을수록 테스트 코드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정리

Junit5에서는 테스트마다 새로운 인스턴스 생성, 테스트 간의 순서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이런 방식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하여 가이드를 하는 거 같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