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b ? 애플리케이션 이름은 무엇입니까? hello-world ? 프로젝트를 포함시킬 디렉토리 이름 입력: hello-world create hello-world/ info 작업 디렉토리를 hello-world(으)로 번경
? 사용하려는 LoopBack 버전은 무엇입니까? 3.x (current) ? 예상하는 애플리케이션 종류는 무엇입니까? hello-world (A project containing a controller, includi ng a single vanilla Message and a single remote method)
터미널에서 원하시는 디렉토리 이동 이후 lb 명령어를 입력하고 프로젝트 설정을 이어 갑니다.
루프백에서 기본적으로 모델을 생성하고 모델 간의 관계를 정의하면 기본적인 CURD REST API를 자동으로 만들어 줍니다. 또한, Swagger를 이용해서 API Document 또한 자동으로 만들어 주어 정말 빠르게 API를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 특정 API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인증 처리도 정말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이 밖에도 다양한 장점들로 빠르게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장점들을 한 번에 소개하기는 힘들어 해당 파트 마다 소개를 이어 나갈 거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한 내용은 부실하지만 이렇게라도 시작을 하지 않으면 계속 늦어질 거 같아 빠르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앞으로는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면서 Loopback의 장점들을 소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