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ById() 같은 경우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먼저 찾고 영속성 컨텍스트에 해당 엔티티가 있으면 그 값을 바로 리턴합니다. 이를 1차 캐시라고 말합니다.
계속 읽기
대부분의 서비스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Master, Slave 구조로 Master에서는 Create, Update, Delete 업무를 진행하고 Slave에서 Read 업무를 진행하는 구조로 설계합니다.
계속 읽기
이벤트 기반 분리 처리를 통해 회원 가입 및 주문 시 발생하는 강결합과 트랜잭션 문제를 안전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계속 읽기
동일한 Bean 내에서 @Transactional을 사용하는 경우 예상했던 것과 다르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서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에서는 Application Event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Application Event Publisher, Application Event Subscriber 방식으로 결합도를 낮춰 느슨한 결합 관계를 갖을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
Spring 트랜잭션 단위
계속 읽기
Checked Exception을 처리하는 전략과 그것에 유의해야 할 점들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자바에서는 대표적으로 Checked Exception 과 Unchecked Exception이 있습니다. 먼저 이 둘의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