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2.2 버전에서부터는 Immutable으로 Properties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하게 설정한 값들은 Properties 객체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속 읽기
Spring boot 2.2 버전부터는 Junit5 디펜던시를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Junit5 주요 테스트 어노테이션과 Spring boot에서 활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계속 읽기
JPA를 사용하다면 보면 N+1문제를 많이 만나게 됩니다. 그에 따른 발생 원인과 해결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계속 읽기
IntellIj를 이용하면 Gradle Task의 명령어 assistant 해주는 기능을 통해서 보다 쉽게 Gradl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
해당 글은 MySQL 5.7 완벽 분석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에서는 JSR 303 기반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일관성 있는 Validation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NotNull, @NotEmpty, @Email과 같은 검증은 가능하지만 비즈니스적에 맞는 Validation은 별도로 진행해야 합니다.
계속 읽기
Utterances는 GitHub Issue 기반으로 Comment를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계속 읽기
외부의 구원(비기)을 기대하기보다 내부 문제를 냉정하게 직시하고 성장하는 노력이 진정한 생산성을 이룬다.
계속 읽기
스프링 기반으로 많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느꼈던 나름의 고찰과 어려움을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사실은 테스트 코드 작성 시 효율적인 방법을 소개하는 포스팅을 진행하려 했으나 이런저런 고민들 때문에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아서 이런 고민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계속 읽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Pagealge + Fetct Join을 이용해서 페이징 처리 시 특정 조건의 경우 limit이 발생하지 않아 테이블 FULL Scan 진행해서 애플리케이션 단에서 limit을 조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