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2에서 3으로 업데이트되면서 Spring Data JPA 관련 설정이 변경된 부분들이 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손쉽게 Spring Boot 3으로 업데이트하면서 Spring Data JPA와 Querydsl 설정을 손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계속 읽기
좋은 코드 설계를 위한 고민들을 평소에 많이 해왔고, 그에 관련한 학습들도 진행했었다. OOP, DDD, Clean Code, Clean Architecture 등등을 통해서 나름의 주관이 생겼으며 경력 초반에는 이런 것들을 지키기 위해 많이 노력해왔다.
계속 읽기
Spring Cloud Gateway를 활용하여 여러 API를 서비싱 하는 경우 해당 API들은 이전에 포스팅한 Spring Guide - Exception 전략으로 통일된 Error Response를 갖게 할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
일반적으로 특정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른 서비스들과의 통신을 통하여 진행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통신은 HTTP으로 쉽고 간결하게 연결이 가능하여 많이 사용합니다.
계속 읽기
데이터베이스와 의존성이 있는 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 given 절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set up 한 이후에 로직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계속 읽기
Spring Config Server 정리를 통해서 Config Server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onfig Client를 알아보겠습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 Config Server는 각 애플리케이션에의 Config 설정을 중앙 서버에서 관리를 하는 서비스입니다. 중앙 저장소로 Github Repository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저장소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계속 읽기
대부분의 서비스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Master, Slave 구조로 Master에서는 Create, Update, Delete 업무를 진행하고 Slave에서 Read 업무를 진행하는 구조로 설계합니다.
계속 읽기
코틀린 기반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플러그인의 도움으로 보다 쉽게 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떤 플러그인이 있고 그것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계속 읽기
Spring Cloud Gateway를 활용하면 라우트, 조건자, 필터 등 다양한 기능으로 API 요청의 라우팅, 재시도, 타임아웃, 로깅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