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5는 다양한 어노테이션들이 추가되었습니다. 그중에 Junit5를 도입할 만큼 매력 있는 어노테이션 @DisplayName 입니다.
계속 읽기
step-12: 페이징 API 만들기 에서 JPA와 Pageable를 이용해서 간단한 페이징 API를 만들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Query Dsl 동적 쿼리를 이용해서 검색 페이징 API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계속 읽기
JPA를 이용해서 Paging API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징 처리는 거의 모든 웹 개발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복잡하고 어려운 구현은 아니나 실제 쿼리로 작성할 때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 됩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 부트 테스트 어노테이션은 각 테스트 목적에 맞게 필요한 Bean만 로드하여 효율적인 통합 및 단위 테스트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계속 읽기
properties.yml 설정 파일을 이용해서 environment를 편리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계속 읽기
Spring OAuth2를 사용하여 JDBC 기반으로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계속 읽기
Spring OAuth2를 활용하여 OAuth2 인증 서버를 구축하고, 클라이언트 인증과 토큰 발급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계속 읽기
단일 책임의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핵심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키워드를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계속 읽기
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란 웹 사이트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의도하지 하지 않은 요청을 통한 공격을 의미합니다.
계속 읽기
Spring REST Docs는 테스트 코드 기반으로 RESTful 문서생성을 돕는 도구로 기본적으로 Asciidoctor를 사용하여 HTML를 생성합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