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로젝트에서는 외부 API 모듈을 RestTemplate를 이용해서 호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RestTemplate을 기반으로 Mock 테스트를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
Spring boot 2.2 버전부터는 Junit5 디펜던시를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Junit5 주요 테스트 어노테이션과 Spring boot에서 활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 기반으로 많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느꼈던 나름의 고찰과 어려움을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사실은 테스트 코드 작성 시 효율적인 방법을 소개하는 포스팅을 진행하려 했으나 이런저런 고민들 때문에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아서 이런 고민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은 다양한 테스트 전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lice Test 라는 것으로 특정 레이어에 대해서 Bean을 최소한으로 등록시켜 테스트 하고자 하는 부분에 최대한 단위 테스트를 지원합니다.
계속 읽기
JUnit5는 다양한 어노테이션들이 추가되었습니다. 그중에 Junit5를 도입할 만큼 매력 있는 어노테이션 @DisplayName 입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 부트 테스트 어노테이션은 각 테스트 목적에 맞게 필요한 Bean만 로드하여 효율적인 통합 및 단위 테스트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계속 읽기
Spring REST Docs는 테스트 코드 기반으로 RESTful 문서생성을 돕는 도구로 기본적으로 Asciidoctor를 사용하여 HTML를 생성합니다.
계속 읽기
본 포스팅은 이미 Travis Ci + Coveralls 연동이 이루어져있다는 가정하고 Coveralls Slack 연동을 중점으로 다루겠습니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