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기반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서 불편했던 부분을 소개하고 해결 방법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계속 읽기
JPA를 이용한다면 Querydsl Support를 사용하면 세부 구현체를 숨기고 Repository를 통해서 조회 쿼리를 제공해 줄 수 있어 장점이 있습니다.
계속 읽기
Querydsl를 이용하는 경우 엔티티와 다른 반환 타입인 경우 Projections를 사용합니다. Projections을 하는 방법과 선호하는 패턴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계속 읽기
최근 JPA를 3년 가까이 사용하면서 개인적인으로 선호하는 패턴들을 한 번 정리하려고 한다. 어디까지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패턴으로 굳이 이런 가이드를 따르지 않아도 된다.
계속 읽기
JPA Bulk 작업을 진행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의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라면 예상하지 못한 문제를 만날 수도 있게 됩니다. 어떤 문제가 있고 이 문제가 왜 발생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 프로젝트에서는 외부 API 모듈을 RestTemplate를 이용해서 호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RestTemplate을 기반으로 Mock 테스트를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
JPA는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합니다.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을 플러시라고 합니다.
계속 읽기
JPA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엔티티 간의 관계 설정과 영속성 컨텍스트의 데이터 관리 방식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계속 읽기
스프링 Application Event를 활용하면 주문 완료 후 후속 작업들을 느슨하게 분리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계속 읽기
Spring 트랜잭션 단위
계속 읽기